상상우리 교육 프로그램 중 '경력설계 전문강사 양성과정'이 있습니다. 금년 11월, 성공적으로 수료를 마친 '경력설계 전문강사 양성과정 10기' 수료생들의 아티클을, 11월과 12월에 걸쳐 기획 기사로 연재할 계획입니다.
그 두 번째 기사로 '배우섭' 수료생의 글을 소개합니다.
제목 : 제2 커리어 설계를 위한 AI 기반 디지털 셀프 브랜딩
변화의 시대, 중장년은 이제 ‘나 주식회사(Me, Inc.)’의
CEO가 되어야 합니다
중장년 이후의 커리어는 더 이상 ‘퇴직 이후의 삶’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만 설명되지 않습니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며, 인생 후반부는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펼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경력 전환의 시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 속에서, 중장년은 자신이 가진 경험·지식·네트워크라는 탄탄한 자본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쟁력을 재정의해야 할 때입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단순히 과거 경력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브랜드를 어떻게 경영하느냐 입니다. ‘나 주식회사’의 CEO로서 자신의 가치를 측정하고, 미래의 기회를 설계하며, 디지털 환경 속에서 존재감을 만들어가는 능력이 핵심 경쟁력이 됩니다.
본 프로그램은 감에 의존하는 막연한 자기계발이 아니라, AI 기반 데이터 분석과 경영 전략을 결합한 체계적인 커리어 재설계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AI와 함께하는 나의 인생 경영: 디지털 셀프 브랜딩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교육 과정이 아니라, 중장년이 자신의 인생을 기업처럼 경영할 수 있도록 돕는 실행형 컨설팅 프로그램입니다. 기업이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전략을 세우듯, 중장년에게도 인생의 자산과 가치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브랜드로 성장시키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AI는 이 여정에서 감정이 아닌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개인 비서(Executive Assistant) 역할을 수행합니다. 나의 경험 가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강점을 재정의하며, 디지털 전략을 실행하는 데 있어 AI는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핵심 가치
1. 경험의 자산화: “직함은 변해도 경험은 자산이다”
중장년의 가장 큰 경쟁력은 오랜 시간 축적해온 경험·전문성·신뢰입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던 무형자산을 시장이 이해하는 방식으로 재정의하여, ‘경험 자본’으로 전환합니다.
2. 가치의 재발견: “인생의 손익계산서를 다시 써야 할 때”
인생의 만족도(매출)를 높이고, 스트레스·후회(비용)를 줄여 행복의 순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수립합니다.
기업이 손익계산서로 경영을 관리하듯, 중장년에게도 인생의 손익분석이 필요합니다.
3. 브랜드 가치 상승: “나라는 브랜드의 주식가치를 높여라”
디지털 시대에 검색되지 않는 개인은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중장년에게 필요한 것은 화려한 스펙이 아니라, 자신만의 고유한 브랜드 메시지입니다.
4. 디지털 브랜딩 실행: 전략을 실제 성과로 만드는 단계
전략이 아무리 좋아도 실행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디지털 도구를 적극 활용해 실제 브랜드 구축으로 이어지도록 돕습니다.
4단계 실행 모듈 요약
1. 인생 재무제표 분석 – 경험·지식·자산의 가치 측정
2. 인생 손익분석 & 행복 KPI 설정 – ‘행복의 순이익’ 극대화
3. 퍼스널 브랜드 전략 수립 – 나만의 브랜드 메시지 완성
4. 디지털 브랜딩 실행 – 콘텐츠 제작, 온라인 포지셔닝, 인생 대시보드 운영
결론: 중장년의 제2 커리어는 ‘새로운 시작’입니다
중장년에게 필요한 것은 ‘다시 시작할 용기’가 아니라, 잘 설계된 전략과 실행력입니다.
‘나 주식회사’의 CEO로서 나의 경험을 새로운 가치로 만들고, AI와 함께 미래를 설계하며, 디지털 세상에서 브랜드로 성장하는 과정—
그것이 곧 중장년 제2 커리어 성공 공식입니다.

출처:워크위즈(https://www.workwiz.co.kr)